Type Here to Get Search Results !

서양음악사 3 : 아르스 안티쿠아(Ars Antiqua)와 아르스 노바(Ars Nova)

  12세기 중반부터 르네상스 음악 이전까지 서양음악을 아르스 안티구아와  아르스 노바로 구분하여 간략하게 정리해 본 것이다.


아르스 안티쿠아(Ars Antiqua)  

  아르스 안티쿠아(Ars Antiqua)옛 예술이라는 의미로 노트르담 성당이 지어졌던 시기인 12세기 중엽에서 13세기 말에 나타난 음악이다. 14세기 작곡가들이 명명했는데, 파리를 중심으로 노트르담과 관련된 음악가들은 전례 없는 웅장함과 복잡성을 가진 새로운 유형의 음악을 창작했다. 진정한 의미의 작곡가가 출현하고 작곡가의 중요성이 대두되었으며, 교회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아 다성 음악이 발달하였다. 정선율이 다성 음악의 기초가 되었고 주를 이룬 것은 3성부 작품이었다.

 

  또 3박자를 배치한 리듬선법을 사용했는데, 그 이유는 삼위일체 하나님을 나타내려고 했기 때문이었다. 트로카에우스, 이암부스, 닥틸루스, 아나파에스트, 스폰데우스, 트리브라키스가 있으며, 실제 연주에서는 트로카에우스, 이암부스, 닥틸루스만 사용되었다. 화성도 협화음정 외에 불협화음정도 빈번하게 나타나며 자유로웠다.

 

  악곡형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트르담 오르가눔(Organum, 중세 초기 다성음악)으로 성 마샬 교회의 멜리스마적인 오르가눔 영향을 받았다. 둘째, 다성 콘둑투스(Conductus, 중세 처음부터 전례에서 사용하지 않은 음악)로서 같은 리듬으로 전체가 진행하고 테너 성부는 새롭게 창작되며 가사는 비전례적이었다. 셋째, 모테트(Motet, 대표적인 종교음악 양식중 하나)는 디스칸트 클라우줄라의 윗 성부에 라틴어로 가사를 붙이는 것으로 클라우줄라에 말, 불어로 mot가 있다는 것을 의미해 모테트라 불려지기 시작했다. 넷째, 호케트(Hoquet)는 한 성부가 쉬는 동안 다른 성부는 노래하는 기법이 많이 쓰이는 곡을 일컫는다. 다섯째, 로타(Rota)는 마치 캐논처럼 다른 선율을 다른 박자에서 시작하는 것으로, 같은 선율을 위의 두 성부가 다른 리듬에서 시작하는 특이한 곡이다. 여섯째, 론델루스(Rondellus)3개의 다른 선율 ABC가 한 성부는 ABC, 다른 성부는 BCA, CAB 형태로 연주된다. 결국 들을 때는 3개가 다 같이 부르고 있는 것이다. 작곡가로는 레오냉, 페로탱, 페트루스 데 크루체가 있다.


아르스 안티구아와 아르스 노바를 보여주는 이미지입니다.
아르스 안티구아와 아르스 노바

아르스 노바(Ars Nova)

 14세기의 시대 상황과 함께 당시 음악인들은 양식적인 측면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13세기 음악과 구분하여 아르스 노바”(Ars Nova) 새로운 예술이라 지칭했다. 아르스 노바는 14세기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 발달한 음악을 지칭하고, 필립 드 비트리의 논문 아르스 노바에서 유래되었다. 프랑스와 이탈리아가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선율 및 리듬의 중요성이 최상 성부인 테너에 주어졌고, 복잡하고 변화가 많은 리듬을 선호해 사실상 리듬선법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순수한 의미의 작곡이 발전되었다. 강박의 위치가 4, 5, 8도에서 3, 6도로 변했고, 또한 시라도로 끝나는 란디니 종지가 유행했다. 프랑스의 아르스 노바는 리듬의 변화와 발전에 집중했다


  다성적 모테트 외에 세속형식인 발라드, 론도, 비를레 등이 작곡되었다. 다성적 모테트(아이소리드믹 모테트)는 테너 성부가 초기 모테트의 리듬선법을 대신한 탈레아라고 불리는 길고 변화가 많은 패턴으로 된 그레고리오 성가를 사용해 부르고, 또한 콜로르라 불리는 반복선율도 함께 사용되어, 똑같은 리듬으로 각 성부가 특정 부분에서 똑같은 리듬의 원리를 적용해 3성부에 동일한 리듬이 들리도록 했다. 발라드는 같은 선율을 가진 여러 개의 연으로 구성되어 있고 aab가 반복되는 형태였다. 제일 높은 음에 선율과 리듬성의 중요성이 가며, 대부분은 3성부 형식이었으며, 3성부 모두 비중이 가는 특징을 보인다. 론도는 후렴구를 갖고 있으며, 악기를 사용하고 이를 담당하는 독창자가 나온다. 비를레는 론도와 마찬가지고 트루베레에서 발생되었고, AbbaA 형식을 가지며, 대부분은 화음이 없는데 다성 작품도 꽤 많이 작곡되었다.


  대표적 작곡가로는 기욤 드 마쇼와 필립 비트리가 있다. 마쇼는 6개 통상문 전체를 다성 음악으로 작곡한 최초의 인물이며, 필립 비트리도 개릿 갤러스, 야수파의 이야기를 작곡했다. 이탈리아는 그전까지 주목받지 못하다가 아르스 노바로 음악의 나라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선율의 흐름에 중점을 두었는데, 정선율 기법을 사용하지 않았고, 구성이 단순한 반면 화려한 성악 양식을 도입했으며, 3가지 세속노래형식이 사용되었다. 첫째, 마드리갈은 이탈리아에서 가장 오래된 다성 형식으로 통상적으로 2성부로 이루어져 있고, 2박자의 각 연을 3박자의 리토르넬로로 끝맺는 형식이다. 둘째, 카치아는 2성부나 그 이상의 3성부, 4성부가 거리를 두고 모방을 하며 다음에 따라 나오는 형식이다. 느린 박자의 제일 낮은 음도 정선율을 가져오지 않고 새로이 작곡되었다. 셋째, 발라타는 프랑스의 비를레와 비슷하며 리프레자라는 후렴이 맨 끝에 불렸다. 작곡가로는 란디니와 야코포 다 볼로냐가 있다.

댓글 쓰기

0 댓글
* Please Don't Spam Here. All the Comments are Reviewed by Admin.

본문 상단 광고

본문 하단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