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 Here to Get Search Results !

서양음악사 1 : 음악의 기원과 고대인들의 음악생활

   음악사적으로는 중세시대를 출발점으로 삼고 있지만 그 이전에 음악은 존재하였다. 따라서 음악의 기원, 음악과 신화, 그리스와 로마인들의 음악을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음악의 기원 

 음악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인류의 역사와 함께 음악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원시인들이 노래를 하고 물체를 두드리거나 동물의 뿔에 바람을 불어넣어 소리를 낼 때부터 음악은 존재한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일반 역사를 문자로 기록되기 이전을 선사시대로 따로 구분하듯, 음악사에서도 기보법이 발명된 중세시대를 그 출발점으로 간주한다.  

 

고대신화와 음악 

  음악이 신들의 발명품이며 따라서 신의 능력을 지닌 것이라고 믿었던 인류의 조상들은 음악의 능력을 신화 속에 반영하였다.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제우스는 자신이 기간테스와의 전쟁에서 거둔 승리에 대해 낱낱이 기억하고 있는 기억의 여신 므네모시네와 아홉 밤을 동침하여 아홉 명의 딸을 낳았다. 이 아홉 자매가 뮤즈이며, 이들이 관장하는 연극 , 시, 노래, 무용 등을 무지케(mousike)라고 하는데, '음악'(music)이란 말은 바로 여기서 나온 것이다. 태양의 신 아폴론은 이 뮤즈들의 후견자로서 음악의 신으로도 추앙받았다. 


테베의 나일강 서안에 있는 테베 네크로폴리스에 위치한 네바문의 무덤에서 나온 음악가와 무용수들의 이미지이다.
음악의 기원 (출처 : semanticscholar.org)


  그리스 신화에서 음악에 대해 특별히 강조되고 있는 것은 바로 음악의 신적인 능력이다. 한편 고대인들은 음악을 윤리적이면서도 과학적인 것으로 이해했다. 음악이 특별한 힘을 가지고 있는 것은 우주의 조화로운 질서가 그대로 이 지구상의 음악으로 반영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고대인들에게 음악은 단순히 소리로서 표현되는 청각 예술이 아니라, 수적 비율로 나타날 수 있는 모든 조화로운 것을 포괄하는 것이다. 특히 피타고라스는 수를 만물의 근원(Arche)으로 보고, 수학적인 바탕 위에서 그의 철학 체계를 세우고 거기에서 절대 진리를 찾고자 했다. 피타고라스는 이러한 생각을 음악이론에도 적용시켰다. 


그리스인들의 음악

  고대 그리스인들의 생활에서 음악은 매우 중요한 것이었다. 신전의식은 물론 각종 경기와 축제 때마다 음악은 그 중심에 있었다. 그런데 무지케(mousike)라는 말이 지금은 음악에 해당하지만 당시에는 단순히 음악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시와 극 그리고 춤을 포괄하는 일종의 종합예술을 의미했다. 


로마인들의 음악

  로마인들도 음악을 좋아하고 요란스럽게 즐겼던 것이 분명 하지만 그리스인들만큼 음악에 관련된 문헌을 많이 남기지는 않았다. 한편 그들의 음악에 대한 향락적인 태도는 중세 기독교인들이 보기에는 퇴폐적인 문화의 전형이었다. 때문에 경건한 중세 기독교 사회는 로마 음악의 유산을 전면적으로 거부하고 엄숙한 교회음악을 새롭게 구축해나가게 된 것이다.


댓글 쓰기

0 댓글
* Please Don't Spam Here. All the Comments are Reviewed by Admin.

본문 상단 광고

본문 하단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