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 Here to Get Search Results !

현대음악의 거장 스트라빈스키(Stravinsky)의 생애와 음악

  스트라빈스키는 러시아와 인접한 다른 동양 문화권의 선율을 서유럽 전통음악과 접목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현대 음악의 거장이다.

 

  러시아어 스트라빈스키귀족'을 의미하는데, 이름 그대로 스트라빈스키(Igor Fedorovich Stravinsky, 1882-1971)는 좋은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에서 자라났다. 스트라빈스키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났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오페라 극장의 유명한 베이스 가수였던 아버지와 음악성이 풍부한 어머니 사이에서 네 아들 중 셋째로 태어났다. 스트라빈스키는 9세 때 피아노를 배우게 되었고, 어려서부터 아버지의 노래 연습 소리뿐만 아니라 아버지의 영향으로 극장에서 공연되는 발레와 오페라를 보며 성장했다.


스트라빈스키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이미지입니다.
스트라빈스키의 모습


  스트라빈스키는 음악에 재능을 보였지만 그의 부모가 음악을 전공하는 것을 원하지 않아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에서 형사법과 법철학을 전공하게 된다. 대학 재학시절 놀랍게도 림스키 코르사코프의 아들을 알게 되고, 그를 통해 림스키코르사코프를 만날 수 있었다. 스트라빈스키의 재능을 알아본 림스키코르사코프는 약 3년간 개인 지도를 하면서 작품을 함께 계획하고 검토하며 공부했다.

 

  스크라빈스키의 출세작은 러시아 발레단(발레 뤼스)을 위해 쓴 3개의 발레곡이었다. 발레 뤼스의 감독인 디아길레프(Sergey Diaghilev, 1872-1929)와 만남을 통해 1908년 오케스트라를 위한 <스케르초 환타스티크, Scherzo Fantastique>를 통해 스크라빈스키는 성공적인 데뷔를 하게 된다

  

  또한 디아길레프의 요청으로 1910년 만들어진 발레곡 <불새 Loiseau de feu>는 절찬을 받아 드뷔시, 라벨, 사티 등과 친분을 맺게 된다. 테즈카 오사무(일본 만화가)가 젊은 시절에 이 곡을 듣고 감명을 받아 명작 <불새>를 그린 계기가 되었다. 1911<페트루슈카 Perushka>1913<봄의 제전 Le Sacre Du Printemps>이 파리에서 초연되어 그의 명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는데, 특히 <봄의 제전>이 초연 때의 충격은 음악사상 가장 큰 소동이 일어났던 것으로 유명하다.


  스트라빈스키의 작품은 크게 민족적 원시주의, 신고전주의, 음열주의 등 3기로 나눌 수 있다. 1(1910-1919)<불새>를 발표한 직후부터 1914년 제1차 세계대전까지인데, 이를 민족주의적 원시주의 시기이다. 2기는 <결혼 Les Noces>을 발표한 후부터 1951년까지인데, 이른바 신고전주의(Neo-classicism) 시기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제3(1953-1971)는 음열주의(Serialism)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스트라빈스키는 새로운 시도를 지속적으로 추구하면서 한 작곡가의 작품이라고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형태의 작품을 남겼다. 110여 곡에 이르는 그의 작품은 비슷한 묶음이 없을 만큼 각기 다른 매력을 지니고 있어서 그를 카멜레온 음악가라고 부르기도 한다.


  스트라빈스키는 총 20곡의 발레곡을 만들어 무용계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중 러시아 발레단을 위해 작곡한 <불새>, <페트루슈카>, <봄의 제전>은 스트라빈스키의 3대 발레곡으로 분류되어 작곡가의 최고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1917년 러시아혁명 이후 고국 러시아에 돌아가지 않고 각지를 전전하다가 1935년부터는 프랑스에서 그리고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전쟁을 피해 미국으로 이주하여 1971년 뉴욕에서 88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하였다.

댓글 쓰기

0 댓글
* Please Don't Spam Here. All the Comments are Reviewed by Admin.

본문 상단 광고

본문 하단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