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칸토 시대의 대표적인 작곡가 도니제티(Domenico Gaetano Maria Donizetti, 1797-1848)는 이탈리아 북부 베르가모에서 가난한 전당포 주인의 아들로 태어나 9세에 고향의 자선 음악학교에서 공부하게 되었다. 그의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간파한 시몬 마이어(Johann Simon Mayr, 1763-1845)는 그를 도니제티는 볼로냐음악원에 입학하도록 도움을 주었다.
도니제티는 고향보다는 베네치아, 로마 등의 다른 대도시에서 성공을 거두었는데, 25세에 로마에서 발표한 오페라 <그라나다의 조라이다>통해 작곡가로서의 명성을 확고히 하였다. 그 후에 그는 여러 도시에서 성공을 거두었지만, 가장 밀접한 곳은 나폴리였다. 그는 나폴리의 3대 극장인 산 카를로 극장, 폰도 극장, 누오보 극장을 위해서만 약 30편의 오페라를 발표했다. 재정적인 안정을 얻은 도니제티는 1828년 로마의 유명한 법률가의 딸 바셀리(Virginia Vasseli)와 결혼하였고, 나폴리 궁정 가극장 음악감독으로 10년 동안 활동하였다.
1829년 로시니(1792-1868)가 돌연 은퇴함에 따라 그 후 10년간 오페라는 도니제티의 독무대가 되었다. 도니제티의 명성을 확고하게 해준 것은 1830년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에서 초연된 오페라 <안나 볼레나 Anna Bolena>였다. 이후 여러 곳에서 제안이 쏟아져 들어와 향후 6년 반 동안 25개의 오페라를 작곡하며, 동시에 그의 오페라 공연과 출판을 감독하였다. 1832년 36세에 발표한 도니제티는 한 달도 채 안 되는 기간에 작곡한 <사랑의 묘약 L'elisir d'amore>은 그에게 커다란 명성을 얻게 해주었다.
![]() |
도니제티의 모습 |
하지만 불행한 가족사가 이어졌는데, 부모가 사망한 지 1년도 채 안 되어 아내 바셀리가 콜레라로 사망하였다(그녀와 세 자녀를 낳았는데 모두 유아때 사망함). 또한 새로운 작품은 공연 금지를 당하자 1838년 도니제티는 파리로 이주하게 된다. 나폴리로 돌아온 도니제티는 1835년 오페라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Lucia di Rammermoor>를 작곡하여 성공을 거두게 된다. 월터 스코트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이 오페라는 유명한 광란의 장면이 들어 있지만 도니제티 최고의 걸작이다.
1840년 로시니의 주선으로 파리로 진출한 도니제티는 프랑스어로 된 3편의 오페라 <연대의 딸>, <라 파보리타>, <순교자>를 발표하며 큰 성공을 거두웠다.
도니제티가 음악적으로도 성장할 수 있었던 여러 이유가 있었지만, 무엇보다 4살 어린 벨리니(1801-1834)와의 강력한 라이벌 관계가 형성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는 이탈리아 최고의 작곡가였던 로시니의 후계자로 인정받으면서 로시니의 비극과 희극을 모두 계승 발전시켰다.
벨리니의 이른 사망으로 도니제티의 독주가 펼쳐지는가 했지만, 70편에 가까운 작품을 썼던 젊은 날의 과로와 방탕하고 문란한 사생활로 인한 신경매독증으로 인한 정신적인 불안정 상태에 시달렸다. 말년에 고향인 베르가모로 돌아왔지만 정신병원을 전전하면서 안타까운 투병생활을 하다가 1848년 52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하였다.
도니제티는 약 75개의 오페라, 16개의 교향곡, 19개의 현악 사중주, 193개의 노래, 45개의 듀엣, 3개의 오라토리오, 28개의 칸타타, 기악 협주곡, 소나타 및 기타 실내악곡을 작곡했다. 그의 수많은 작품 중에서도 <사랑의 묘약>, <루크레치아 보르자>, <마리아 스투아르다>,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로베르토 데 버루> 등 역사물을 중심으로 한 그의 작품들은 낭만주의 오페라의 가장 훌륭한 작품들로 평가된다. 빠른 작곡 속도로 작곡할 수 있었던 도니제티는 유행에 맞는 작품을 많게는 한 해에 작품 개를 작곡하기도 했다. 한번 쓴 작품은 수정하지 않았으며, 작곡 과정에서 피아노조차 사용하지 않았다. 하지만 대부분 흥행만을 목적으로 성급히 작곡된 작품이라 몇몇 오페라 작품을 제외하고는 완성도 면에서는 떨어진다.
도니제티는 오페라에 있어서 관현악 반주보다 성악 선율을 더 중요하게 여겼다. 그의 아리아들은 노래하기 대단히 어렵고 아름다운 선율이며 예술적 기교로 가득 차 있다. 당시 가수들이 뛰어난 기교를 과시할 수 있도록 작곡을 하였는데, 오늘날에는 완벽하게 노래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그의 작품의 대부분이 무대위에 올려지지 못하고 있다.